본문 바로가기
건강하게살기_Healthy Life

지루피부염의 치료법, 위험요인 및 예방

by 언제나소년코난 2024. 1. 14.
반응형

 지루피부염의 치료법은 환자의 나이, 증상의 정도, 발생 부위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일반적으로 국소 스테로이드(steroid), 항진균제 및 국소 칼시뉴린 억제제(calcineurin inhibitor)가 일차 약제로 고려되며, 항진균제 성분의 샴푸인 케토코나졸(ketoconazole) , 시클로피록스(ciclopirox) 등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유아의 지루성피부염

 

 유아의 지루성피부염은 두피, 얼굴, 목, 가슴 등에 주로 발생하며, 비듬이나 빨갛고 가려운 발진이 특징입니다. 유아의 지루성피부염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유아의 지루성피부염
유아의 지루성피부염

 

- 역가가 낮은 스테로이드(예: 0.5~1% 하이드로코르티손)를 단기간 사용하며, 각질용해제(keratolytics)나 물리적인 방법으로 비늘을 세게 벗겨내는 것은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 발생한 경우 건조 로션(drying lotion)을 사용하며, 진물이 나는 피부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0.1~0.25%의 겐티아나바이올렛(gentian violet)용액을 도포합니다. 

- 유아의 지루피부염 치료에는 고단백, 저지방, milk-free 식단은 도움이 되지 않으며 비오틴(biotin), 비타민 B 복합제 또는 필수지방산 등의 효과도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 유아의 지루성피부염은 자주 재발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실내습도를 높여주고, 건조한 공기를 피하며, 부드러운 옷을 입도록 합니다.

 

2. 성인의 지루성피부염 

 

 성인의 지루성피부염은 두피, 양볼, 코 주변, 눈썹, 수염 등에 주로 발생하며, 비듬이나 빨갛고 가려운 발진이 특징입니다. 성인 환자에서 이 질환은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므로 질환을 완치하기보다 조절하는데 있다는 사실을 잘 알아야 합니다. 성인의 지루성피부염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 얼굴에는 기름기가 많은 연고나 화장품의 사용을 피하며 비누의 사용횟수를 줄이도록 합니다. 또한, 면도 전후에 사용하는 알코올성분의 면도용 로션을 금합니다. 

- 지루피부염이 두피에 발생한 경우 항진균제 등이 포함된 샴푸를 일주일에 2~3차례 사용합니다. 두피에는 역가가 높은 스테로이드를 단기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피 이외의 부위에는, 부작용이 적은 0.5~1%의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얼굴, 겨드랑이, 샅고랑 부위에는 장기간의 사용을 금합니다.

 스테로이드 연고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입술 주위 피부염이나 스테로이드에 의한 주사와 여드름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중단 후 반동성 재발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국소 케토코나졸(ketoconazole)과 기타 항진균제의 도포가 효과가 있으며, 특히 스테로이드제 사용에 부작용이 나타나기 쉬운 안면부위에 선호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국소 스테로이드제보다 효과가 늦게 나타납니다. 

- 지루성피부염은 자주 재발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실내습도를 높여주고, 건조한 공기를 피하며,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루피부염의 예방법

 

 지루피부염은 완전히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다음과 같은 조치를 통해 증상을 줄이고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 피부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비누나 샴푸 등으로 너무 자주 문질러서 피부를 자극하지 않습니다.

- 기름기가 많은 화장품이나 연고를 피하고, 비누 대신 순한 클렌저(cleanser)를 사용합니다.

- 햇볕을 적당히 받아주고, 자외선 차단제를 바릅니다.

- 건조한 공기나 추운 날씨를 피하고, 실내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합니다.

-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충분한 수면과 운동을 합니다.

- 비듬 및 지루피부염의 악화요인으로 우선 가을과 겨울의 낮은 기온, 낮은 실내습도, 자외선A 치료 또는 광화학치료(PUVA) 등의 환경적 요인을 들 수 있으며, 비오틴(biotin), 비오티디나제(biotidinase) 등의 영양분 및 효소결핍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특정 약물에 의해 악화하기도 하고,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에 의해서도 악화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