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능은 우리의 건강과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폐기능이 저하되면 호흡곤란, 기침, 가래, 흉부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호흡부전이나 폐심증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증가합니다.그렇다면 폐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을까요?
폐기능 저하의 원인을 알아야 합니다.
폐기능 저하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크게 가역적인 기도폐쇄와 비가역적인 기도폐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가역적인 기도폐쇄란 기도의 급성 염증이나 경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천식이나 만성기관지염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비가역적인 기도폐쇄란 기도의 만성 염증이나 파괴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이나 폐섬유증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가역적인 기도폐쇄가 있는 경우는 꾸준한 약물치료로 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천식 환자는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긴장형 베타2 자극제를 병용하여 기도염증과 경련을 완화시키고, 급성발작 시에는 짧은작용형 베타2 자극제나 안티콜린제를 사용하여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만성기관지염 환자는 항생제나 멀리스타민 등을 사용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가래를 배출하기 쉽게 해줍니다.
그러나 비가역적으로 폐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폐기능을 정상으로 향상시키기는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폐기능의 진행을 늦추고,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흡연은 호흡기증상을 악화시키고, 연간 FEV1 감소 정도를 가속화시키며, 무엇보다도 스테로이드 같은 치료에 대한 효과를 감소시키므로 금연을 강력히 권해 드립니다.
운동이나 산소요법 같은 치료로 폐기능을 호전시키지 못하지만, 호흡곤란 같은 증상 개선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습니다.
또한, 폐 이식이라는 극단적인 방법도 있습니다. 폐 이식은 다른 치료로 도움이 되지 않는 매우 심한 폐질환 환자에게 시도할 수 있는 마지막 수단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수술 후 거부반응이나 감염 등의 합병증 위험이 높고, 수술 대상자와 기증자의 부족으로 인해 실현하기 어렵습니다.
결론적으로, 폐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폐기능 저하의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가역적인 경우는 약물치료로, 비가역적인 경우는 증상완화와 합병증예방을 위해 금연과 운동 등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폐 이식은 매우 드문 경우에만 고려할 수 있습니다. 폐기능은 우리의 건강과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하므로, 폐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건강하게살기_Health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맥류가 있는 경우 음식을 어떻게 먹는 것이 좋을까요? (75) | 2024.03.14 |
---|---|
안구건조증이 시력에 끼치는 영향과 연관 관계 (55) | 2024.03.13 |
일상생활에서 폐기능저하를 인지할 수 있는 방법 (53) | 2024.03.12 |
여성이 남성용 탈모치료제를 사용할 때 효과가 있을 수 있는 경우 (70) | 2024.03.12 |
남성용 탈모치료제, 여성도 사용할 수 있을까요? (68) | 2024.03.11 |